제2권
[상승갭과 하락갭]
상승갭이 나타나면 주가가 갭의 위부분까지 조정받는 시점을 매수 타이밍으로 보고 매수하여도 무리가 없다. 하락갭이 나타나고 갭의 아래 부분까지 주가가 반등하면 미련 없이 매도하여야 한다. 종합주가지수에서는 바닥에서 상승갭이 나타나면 상승으로 전환되는 확률이 대단히 높고, 주가 하락시에 하락갭이 나타나면 주가가 상당 기간 그 갭을 저항선으로 하여 그 밑에서 하락추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그랜빌과 장기투자]
매수신호1 : 장기이동평균선(120일선)이 하락하다가 횡보하거나 상승으로 전환되기 시작할 때 주가가 장기이동평균선 밑에서 일정한 저점이 지지되는 이중바닥 이상을 만들다가 위로 돌파하는 경우.
매수신호2 장기이동평균선이 상승중 에 주가가 장기이동평균선 아래로 약간 내려갔다가 곧 상승으로 반전하는 경우
매수신호3 장기 이동평균선이 상증 중에 주가가 장기 이동평균선 근처로 내려갔다가 아래로 돓파하지 않고 상승으로 반전하는 경우
매수신호 4 주가가 장기이동평균선 밑에서 급락하다가 이격도 괌도권으로 내려갔다가 반등하는 경우
1,2,3은 대세상승을 전제로 함
주식시장이 대세 하락할 때는 정부의 금리인하는 주가 하락에 따른 결과이지 주가를 적극적으로 올리기 위한 정책이 아니다.
주식시장의 대세 바닥은 금리의 바닥부근이라고 할 수 있다.
[종합주가지수 차트분석법]
월봉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월봉에 장대양봉이 나오면 추세전환의 신호가 아닌가 생각할 필요가 있다. 양봉과 음봉의 개수를 비교하는 방법도 쓰임
월봉차트에서 거래량을 비교하는 것은 추세분석 지표로서 신뢰도가 떨어진다.
주봉
주봉 스토캐스틱(5-3-3)에서 90이상은 대개 꼭지로서 지수 중기 고점이 임박한 것을 나타낸다. 지수가 추가상승하더라고 스토캐스딕(5-3-3)의 고점이 직전 고점보다 낮아지면 그것은 조정이 강하게 시작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주봉캐스틱차트에서 10이하로 떨어지면 그것은 90%확률로 반등이 나오는 바닥이고 20은 반등이 나올 확률이 80%이다. 반대로 스토캐스틱이 90이나 90이상이 고점에 들어가면 꺽일 가능성이 높다.
[스토캐스틱(5-3-3) (10-6-6)은 20이평선과 함께 분석]
1. 종합주가지수 주봉이 20주 이평선 아래 있을때는 대세하락의 관점이다. 주봉이 20주 이평선 아래 있을 때는 주봉스토캐스틱(5-3-3)DC가 나면 매도신호
2. 종합주가지수 주봉이 20주 이평선 위에 있을때는 주된 관점은 대세상승이다. 이때는 스토캐스틱(5-3-3)GC가 나면 상승전환이므로 매수신호.
주식시장의 중기적 하락세는 지수주봉차트에서 5주 이평선이 낮은 쌍봉으로 무너질 때 확인된다. 5주 이평선이 쌍봉으로 무너지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고 스토캐스틱(10-6-6)이 먼저 DC(신뢰도 높아보임)가 나기도 한다
주봉차트에서 거래량 분석은 3주 거래량이평선이 가장 중요. 지수가 몇 주 상승하다가도 주봉상의 거래량이 거래량 3주 이평선에 미달하면 조정이 시작되고 상승중의 조정에서 다시 상승으로 전환되기 전에 거래량이 단기 바닥이 되는 거래량 바닥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거래량 3주 이평선이 고점이 낮아진 쌍봉으로 꺽이면 지수의 중기적인 하락세가 시작된다. 하지만 거래량 지표는 바닥에서 상승으로 전환되는 신호로서는 신뢰도가 떨어진다.
일봉
주식시장의 단기 바닥은 이격도가 95이하 및 투자심리도가 30이하가 되는 날일 경우가 많고 만약 그 직후 스토캐스틱(5-3-3)이 GC가 나는 날이 단기반등을 시작하는 날일 확률은 더 높으며 주식시장의 단기 천정은 이격도가 105이상 및 투자심리도가 70이상되는 날일 경우가 많고 만약 그 직 후 스토캐스틱 (5-3-3)이 DC가 나면 그날부터 하락세가 시작할 확률은 높아진다.
.
일봉차트의 스토캐스틱(20-12-12)에서 두 개의 선이 80부근에서 DC나면 중기적인 하락세 20부근에서 GC나면 중기적 상승세
종합주가 지수 일봉 차트에서 20일선이나 60일선이 쌍봉으로 무너지면 대세 하락의 신호이다.
[대세바닥을 나타내는 신호]
(1) 240일 이평선이 상향전환되고 지수 일봉이 그 위에서 지지되어야 하고
(2) 20일 이동평균선의 고점과 저점이 상당한 기간( 두달정도)을 두고 높아지거나 60일선이 상향전환되어야 한다.
[GAP]
종합주가지수 차트에서 바닥에서의 상승갭이 나오면 적극 매수관점에서 접근하고 고점에서 하락갭이 나오면 적극 매도 관점으로 접근해야한다.
지수 일봉이 종합주가지수의 진바닥권에서 20일선을 뚫으면서 발행하는 상승갭이나 상당 기간 횡보하다가 박스권의 상단을 갭으로 돌파하는 경우 지지선이 되고, 20일선 밑으로 가면서 하락갭이 발생하면 상당한 기간 저항선으로 되고 반등 시 이를 돌파하기 어렵다.
거래량분석(개인적으로 신뢰가 안감)
종합주가지수 일봉 차트에서 거래량 분석이 중요하고 신뢰성이 높음.
단기적 거래량 변화를 보면 상승세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지수가 조정을 하면 거래량이 감소하여 종합주가지수 차트에서 거래량 바닥이 조정의 바닥이 될 가능성이 높고, 단기적 고점에서 거래량이 많이 터진다.
머리와 어깨 천정형 : 주가가 쌍봉을 만들기전에 거래량 파동의 쌍봉이 먼저 나타나 하락전환 신호를 먼저 나타내준다. 파동 전체의 거래량이 감소하면 주가는 전 고점을 돌파하더라도 추격매수하는 것이 위험하다.
역머리와 어깨 바닥형 : 하락중이 반등시에 직전 저점보다 거래량이 적에 나오면 추세를 되돌릴 힘이 약하므로 아직 하락세가 멈추지 않아다는 것을 시사하여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과 이 번 바닥의 거래량이 직전 바닥 거래량보다 많으면 그것이 최저점일 가능성이 있다
종합주가지수 일봉차트에서 파동의 고점이 높아져도 거래량이 고점이 낮은 쌍봉으로 하락하면 주식시장의 단기적 시세가 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기술적 분석의 용어로는 주가와 거래량사이에 다이버전스(Divergence)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거래량의 Divergence를 거래량 쌍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점 거래량분석은 신뢰도가 크지만 바닥에서의 거래량 분석은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거래량의 5일 이평선의 저점이 쌍바닥으로 높아진 경우에도 중기적 상승신호가 아닌 경우가 상당히 존재한다.
주가는 고점에서 상승하는데 거래량의 이평선은 하락하고 있는 것은 단기적 고점이 임박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중기적 관점에서 거래량과의 관계는 대단히 중요
주가가 상승하더라고 거래량 5일선은 하향하다가 거래량 5일선이 20일선과 DC가 나면 그날이 중기적 최고점일 가능성이 높다.
종합주가지수차트에서 중장기 추세분석에 유용한 것은 주가가 상당기간 상승한 다음 거래량 20일 이평선이 하향전환하는 현상이다. 이런 현상은 주가의 중기적 추세가 꺽이기 전에 먼저 나타날 확률이 높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기 전에 거래량 5일선이 먼저 거래량 20일선을 하향돌파한다.
제6장 매매신호
매수법
[진바닥매수법]
진바닥 단타 매수법은 주식시장의 진바닥권은 일봉차트에서 이격도가 95이하가 되고 동시에 투자심리도가 30이하로 되는 때이다. 진바닥권에서 나온다는 것은 이격도가 95이상이 되고 동시에 투자심리도가 30이상이 되어야 한다. 진바닥 매수법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매수시점에 진바닥권에 들어갈때가 아니고 나올때이다. 즉 두 개의 지표가 모두 바닥권에서 나올 때가 매수시점이다.
진바닥 단타 매수법에서 보완할 점은 종합주가지수 일봉 차트에서 60일 이평선까지 포함하여 이평선 모두가 역배열되어 대세가 하락중인 경우는 지수가 진바닥권에 들어서도 다시 상당기간 하락을 계속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스토캐스틱까지(20-12-12)까지 GC가 나와야한다.
진바닥 중기 매수법은 이격도와 투자심리도가 둘다 진바닥권에 들어가싿가 나오고 10일 파동 또는 20일 파동의 상승전환신호까지 겹친 경우이다. ㅈ10일 파동의 상스으 전환신호는 스토캐스틱(5-3-3) 파동의 저점이 상승하거나 스토캐스틱(10-6-6)의 두선이 골든크로스가 가ㅡㄴ 것이고 20일 파동의 상승전환 신호는 스토캐스틱(10-6-6)파동의 저점이 상승하고 스토캐스틱(20-12-12)의 두선이 골든크로스가 나는 것이다. 진바닥 중기 매수버버에 의한 매수신호가 나올때는 지수의 강한 상승이 예상되므로 매수할 종목으로는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주가 무난하다.
[진바닥 중기매수법]
| 진바닥권 | 매수시점일반 | 하락N자형발생 후 매수시점 |
종합주가지수 | 이격도 95이하 및 투자심리도 30이하 | Stochastic(10-6-6) GC | Stochastic(20-12-12)GC |
개별종목 | 이격도 90이하 및 투자심리도 20이하 | Stochastic(10-6-6)GC | Stochastic(20-12-12)GC |
여기에다가 상승중에 단기 바닥이 진바닥이라면 하락시 거래량이 줄어들다가 최저 거래량이 되어야 한다. 거래량의 바닥이 주가의 바닥이라는 증시 속언은 사실이다.
8음도 매수법
상승갭 추격 매수법
상승갭이 나오면 추격매수할 수 있다. 상승갭이 나오면 개미의 물량이 나오면서 그 다음날 극히 양호햔 조정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며칠내에 갭이 지지선으로 확인되면 적극추격매수해야한다.
쌍바닥매수법
쌍바닥이 형성되는 기간이 길수록 추세의 신뢰성이 크고 상승세가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단기적 매수 신호는 일봉쌍바닥으로 판단하지 말고 최소한 5일선 쌍바닥을 보는 것이 좋다. 5일선 쌍바닥은 단기적 매수신호를 판단할 때 기본이 되는 쌍바닥이다.
쌍바닥에서 나오는 장대양봉은 신뢰성이 높은 매수신호이다.
저점에서 상승한 다음 조정을 할 때는 거래량은 직전 저점에서 상승할 때의 거래량보다 적어야 한다. 조정하면서 거래량이 크게 감소할수록 양호한 조정이라고 볼 수 있다. 대개 상승 파동이 강하게 나오려면 조정시의 거래량이 직전 바닥에서 상승시 거래량의 절반정도로 줄어들어야 한다. 주가가 조정을 받고 재상승할때의 거래량은 그 직전 상승 파동에서의 거래량보다 많은 것이 보통이다. 그것은 직전에 거래한 사람들으 차익물량을 소화해야하기 때문이다.
개별 종목 차트의 경우에 보통의 경우와 달리 재상승시의 거래량이 증가하지 않고도 주가가 강하게 상승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대게 세력의 매집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수가 많다. 주가가 한단계 더 갈 가능성 있음..
5일선이 3중바닥을 만든다음 전 고점을 강하게 돌파하고 조정받고 다시 상승할때는 강한 상승이 될 가능성이 높다.
잔디형의 차트 인 경우에 폭락차트가 되어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런 주식을 매수하는 타이밍은 횡보하는 기간이 아니라 추가가 횡보하던 박스권을 상향으로 탈출하는 시점으로 잡아야 한다.
20일선 매수법
이평선이 정배열 된 상태를 전제
(1) 20일선이 상향이어야 한다.
(2) 20일선이 만나는 곳에서의 일봉 저점이 직전 저점보다 높아야한다.
(3) 20일선에서 매수하였을 때 주가가 반등하면서 직전 고점을 돌파하는지 여부를 살펴야 한다
상승N자형 매수법
이평선 상호관의 관계를 보고 두 개의 이평선이 모두 저점을 상승시키는 것을 매수신호로 보는 기법
20일선 위에서 5일선이 N자를 만들었다는 것은 세력이 개미의 매물을 소화하면서 추가매집하는 것이거나 누구나 그 주식이 추가상승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매물이 적어진 경우일 가능성이 높다.
상승초기 상-조정-상 매수법
상-조정-상 패턴은 급등주의 상승초기 그리고 상승중에 나오는 경우가 많다.
매수조건
(1) 주가가 20일선 밑에서 위로 처음 올라갈때의 모습이 중요 강한 양봉이 좋음
(2) 20일선위에서 양호하게 조정받는 것(거래량이 줄면서)이 필요
(3) 조정 다음날 주가가 시가에서 크게 밀리지 않고 올라가야 한다.
(4) 첫 상한가 다음의 조정시 거래량이 반드시 그 전 상한가의 거래량보다 상당히 적어야 한다
상승중의 상-조정-상 매수법
조정시 하한가가 아닌 음봉이어야 함 조정은 음봉인 경우가 많지만 세력이 후장에 주가를 의도적으로 올려서 T자형 일봉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조정후 다음날 시가에서 밀리지 않아야 한다. 만약 10시 이전에 상한가로 들어가지 않거나 시가에서 2%이상 밀리면 상-조정-상이 아닐 수 있음 또한 상한가다음의 조정의 거래량은 전날 상한가의 거래량보다 적어야 한다. 그리고 조정 다음날의 상한가의 거래량은 조정하는 날의 거래량보다 적은 거래량이면 좋다.
매도법
손절매의 새로운 방법-고점에서 일정한 비율이 하락하면 매도하는 방법
주식시장은 240일 이평선이 하향 전환되고 20일선의 고점이 낮아진 쌍봉으로 무너지거나 60선이 하향 전환되면 대세 하락이 시작된다.
주봉차트로 보는 경우 스토캐스틱(5-3-3)의 두선이 GC가 나면 중기적인 대세가 하락세로 전환되고 스토캐스틱 (10-6-6)이 DC가 나면 장기적인 하락세가 된다.
일봉차트의 경우 20일선이 무너지기 전에 먼저 스토캐스틱 (20-12-12)가 DC가 난다는 것을 알면 도움이 된다.
거래량 20일선이 하향전환되면 단기적(적지않은 경우 중기적)하락세가 시작된다는 신호
개별종목으 경우 진과열권은 110이상 이면서 투자심리선이 80이상인때이다. 두개의 지표가 모두 과열권에서 나오면 단기적으로 상승세가 꺽였다는 신호이다.
5일선이나 스토캐스틱(5-3-3)까지 쌍봉으로 무너지면 하락세 전환을 의미한다.
급등주가 첫 하한가 나오면 무조건 매도
하락세에서 5일선 매도법
주가가 하락추세에 있을때에 주가가 반등을 주더라도 5일선을 깨는 첫 음봉이 나오면 반등을 기대하지 말고 일단 매도하여야 한다.특히 스토캐스틱(5-3-3)이 과열권(80이상)근처에서 5일선을 깨는 첫 음봉은 매도신호이다.
종합주가지수 일봉차트에서 5일선과 20일선이 역배열되고 20일선이 하향일때는 반등하는 일봉이 20일선 아래서 5일선을 처음깰 때 추가하락이 나올 확률이 90%이상이고 급락할 가능성도 높다. 일봉 20일선 하향일때는 5일선을 깰 때 일단 매도하는 것이 정석이다.
상승세에서 5일선 매도법
(1) 음봉 두개 이상으로 5일선을 깨거나
(2) 음봉 다음에 양봉이 나오더라도 그 양봉의 몸통을 삼키거나 그 양봉의 시가보다 낮은 종가의 음봉으로 5일선을 깨는 것이 매도신호
5일선이 쌍봉으로 무너지면 단기적인 시세가 끝난 것을 의미하지만 5일선의 고점이 전 고점보다 높아진 상태에서 주가가 5일선을 깰 때에는 급등주의 폭락이 아닌 한 하락하다가도 아래에서 상향으로 올라오는 이평선에서 지지받을 가능성이 높다
5일선 쌍봉매도법
5일선이 하락하다가 옆으로 횡보하는 것은 바닥을 다지는 것이 아니라 반등에 실패하는 모습. 5일선이 20일선 밑에서 무너질 때 매도하지 못하면 쪽박이다.
20일선 쌍봉매도법
20일선 쌍봉은 대세의 끝일 가능성이 높다. 20일선 쌍봉보다 더 나쁜 현상은 20일선이 하락하다가 멈추고 옆으로 횡보하는 것
거래량의 쌍봉은 매도 신호로써 신뢰도가 높으나 거래량의 쌍바닥은 매수신호로써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 비하여 스토캐스틱 고점 쌍봉은 매도신호 , 쌍바닥은 매수신호로서 신뢰성이 있다. 특히 스토캐스틱의 저점이 세번 높아지면 매수신호로서의 신뢰도가 크고 스토캐스틱의 고점이 세번 낮아지면 매도신호로서 신뢰도가 크다.
출처: http://shalomon.tistory.com/entry/Book-고승덕-주식강의-2권 [후아후우]